일반적인 공유기에서 외부에서의 WOL이 되는 이유는 WOL서버 때문인데요.(한가지 방법은 브로드캐스트 주소로의 포트포워드지만 지원 안되는 공유기가 더 많습니다.) 새로산 공유기는 WOL서버 기능을 자체적으로 지원하지 않으니... 답답하더라구요.
이걸 안쓸 수는 없고 어떻게든 쓸 방법을 생각해봤는데요
첫번째 방법은 외부 N번 포트에서 들어오는 패킷을 내부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포워드해버리는 것이 었습니다. 그러면 제가 보낸 패킷이 내부네트워크 전체로 퍼지고 제가 보낸 맥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컴퓨터만 켜질 것 같았거든요.
두번째 방법은 아예 리눅스를 설치하고 WOL서버로 사용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첫번째방법이 간편한데 공유기에서 지원하지를 않아요... 그래서 결국 두번째 방법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허접하지만 혹시나 넷기어나 링크시스등 WOL이 자체적으로 지원되지 않는 공유기를 이용중인 분들을 위해 작성합니다.
준비물은 남는 항상 켜져있을 수 있는 컴퓨터 혹은 리눅스가 설치되는 싱글보드컴퓨터입니다. 사용중인 서버가 있다면 그걸 써도 됩니다. 일단 저는 여기서 라즈베리 파이로 진행하겠습니다. 저는 리눅스로 진행하지만 윈도우에서도 됩니다.
먼저 라즈베리파이에 레즈비언
service ssh start
를 입력해서 sshd를 시작합니다.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wakeonlanor
aptitude update && aptitude install wakeonlan를 입력해 wakeonlan을 설치합니다.
포럼에서 보니 aptitude가 대세던데 저는 아직도 익숙함 때문에 apt-get을 쓰고 있네요.
vi filename.sh
를 입력해서 안에는 wakeonlan 11:22:33:44:55:66
와 같이 wakeonlan뒤에 맥어드레스를 입력해줍니다.스크립트파일로 만드는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그냥 좀 짧게 만들기 위함이구요. 좀 공을 들이면 켜졌는지 안켜졌는지 확인하는 스크립트를 넣을 수도 있겠지만 그냥 쓰는 건데 그렇게 공들일 필요까지야...
sh wol.sh
를 입력해 봅니다 켜지나요?vi /etc/ssh/sshd_config
를 입력하신후 사진에 있는 저 #을 제거 하시고 포트번호를 수정해주세요.윈도우의 경우
윈도우의 경우에는 간단하게 여기에 나와있는 윈도우용 ssh서버중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하신 후 설정을 마치시고 (꼭 ssh서버 설치하실 필요없습니다. RDP포트여시고 RDP접속하셔서 수동으로 켜줄 수 도 있습니다. 여기서 ssh서버를 설치하는 것은 밑에 나온 원클릭 켜기 때문입니다.) 여기에서 command line용 wolcmd를 다운받습니다. 그리고 ssh 접속시 기본 경로에 넣어주면 됩니다.(기본경로가 어디였는지 생각이 안나요 C:\Users\유저명 이었나 C:\Users\유저명\Documents 이었나.)
그리고 cmd 파일을 하나 만드신 후
wolcmd [mac address] [ipaddress] [subnet mask] [port number]이렇게 설정하고 ssh 접속했을때의 기본경로에 wol.cmd로 저장해 주시면 되는데, 아마
wolcmd [mac address] [ipaddress] 255.255.255.0 9이렇게 맥 어드레스랑 아이피만 설정하면될겁니다. 아이피는 맨뒷자리는 255로 해주세요 ex)192.168.1.255
자 이제 설정이 끝났습니다. 스마트폰이나 외부 컴퓨터에서 ssh접속하신후
sh wol.sh
해주시면 되는데요.원클릭이 아니잖아요. 그래서 이 앱을 이용하도록 합니다.
Script Kitty
이 앱은 명령어를 등록해놓고 실행하면 ssh접속후 해당 명령어 실행까지 해주는 앱입니다. 이걸 이용해 원클릭 wol패킷을 보낼텐데요. 한번 보도록 하죠
굉장히 허접하지만 그래도 WOL을 쓸 수 있어서 좋네요. 근데 라즈베리 파이를 고작 WOL서버로만 쓰자니 너무 아깝네요. 아무리 CPU성능이 딸린다 해도 가정용 NAS정도는 되는 성능인데... 뭐라도 서비스 좀더 올려서 써야겠어요.
웹서버 올려서 어떻게 잘 만들면 공유기 UI처럼 GUI로 만들 수 있을 텐데 하는 생각도 드는데 혹시 하게되면 따로 새글 안쓰고 여기 밑에 추가할게요.
반응형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부에서 Wake On Lan 지원 안되는 공유기에서 WOL 사용하기 (12) | 2015.02.21 |
---|---|
SSH 터널링으로 회사방화벽 우회하기 (7) | 2012.12.01 |
휴대폰안의 세미모바일포렌식,파일보기, 게임넣기,-EasyCDMA (0) | 2008.07.03 |
서버가 켜고싶은 컴퓨터랑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나요?
저 라즈베리파이 서버는 어떻게 설치되어있는지 궁금하네요.. 컴퓨터랑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건지 아니면 공유기하고만 물려있는건지 모르겠네요 공유기랑 연결되어있다면 라즈베리파이서버로의 접속은 외부에서 어떻게 이루어 지는 건지 공유기를 한번 거쳐야 할텐데 외부에서 그러면 라즈베리 파이의 mac주소만 있으면 되는건가요.. 기본도 안되어서 모르는게 너무 많네요.
컴퓨터와 연결은 필요없구요. 그냥 켜고자하는 컴퓨터와 무선이든 유선이든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기만 하면 됩니다. 쉽게말하면 같은 공유기 아래에 있으면 됩니다. 저렇게 설치한다면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는 컴퓨터는 MAC어드레스만 알면 다 켤 수 있습니다.
공유기가 있는데 외부에서 접속하는 방법은 검색창에 공유기 메이커 입력하시고 포트포워딩으로 검색해보세요.
참 신기한 글이 많네요..ㅎㅎ^^
좋은 글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에 눈 번쩍 뜨이네요
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많이 들러주세요.
kt 홈허브라...wake up 기능이 사라졌습니다...
그래서 위 방법을 해보려고 했더니...
파이가 있어야 하나요??..파이 없이 하는방법..도 알려주시면..
윈도우7 입니다...
꼭 라즈베리파이가 있어야 하는건 아니고 윈도우든 리눅스등 항상 켜져있을 수 있는 기기가 하나 있으면 됩니다.
근데 저는 항상 켜놓기에는 전기세가 걱정되어서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한 것 뿐이지요.
항상 켜져있는 기기가 없으면......방법이 없나요?
네 브로드캐스팅 방식이 먹히지 않으면 이것밖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매직패킷을 보내라는 신호를 대기하고 보낼 기기가 필요하니까요.
주인장님 내공이시면 답변 달기 싫을것같은 글도 보이는데 친절히 모두 답글까지 달아주시네요. 유용한 글들 넘 잘 봤습니다. 자주 방문할게요!
주인장님 내공이시면 답변 달기 싫을것같은 글도 보이는데 친절히 모두 답글까지 달아주시네요. 유용한 글들 넘 잘 봤습니다. 자주 방문할게요!
와.. 이런 곳이 숨어있었다니..
친구집 WOL 설정하려고 찾다가 여기까지 왔네요~ ㅎㅎ
여기가 개인 집이 아니라
여러 호실에서 공동으로 공유기(?)를 쓰는 곳인데..
공유기 게이트웨이 주소 접속이 안 돼서..(막아 놓은 듯?)
다른 방법이 없나.. 보다보니.. 이런 방법도 있군요~
는.. 너무 복잡하고 라즈베리파이..도 할 줄 모르고..
네트워크 관련해서 잘 모르기에
이런 방법을 알려줘도 여전히 방법이 없는 것 같고 ㅋㅋ
여전히 답답하긴 하지만..
너무 잘 모르고 궁금해서 그런데..
혹시 라즈베리파이 말고 아두이노..같은 거로는 안 되는 건가요?
아 그리고 USB 무선 랜카드로 연결되어 있으면 안 되려나요?
일단 흥미있는 정보가 많은 곳에 와서
기쁜 마음에 댓글을 달아봅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나중에 시간 날 때 하나하나 천천히 구경해봐야겠네요~ ㅎㅎ